관리자답변 |
잠복매독은 환자에게는 증상은 없지만 혈청반응은 양성을 보이는 경우를 말합니다. 이기간은 제2기 매독과 만기매독의 중간정도인데 최초 4년 동안은 감염성이 있다고 보아야 하며 4년이 경과한 이후에는 임신부에게서만 감염성이 있는 것으로 보아도 좋습니다. 대개는 매독진이나 탈모등의 2기 매독 증상을 치료하지 않은 경우 무증상으로 넘어 갔다가 잠복매독 상태로 되나, 증상이 미미하거나 느끼지 못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잠복매독의 자연경과는 일정치 않아 중증 만기매독 증상을 나타내는 환자를 제외하면 잠복상태가 전생애에 걸쳐 지속됩니다.
만기매독은 제3기 매독(tertiary syphilis)이라고도 하고 만기의 양성매독, 심혈관계 매독, 신경매독이 이에 포함됩니다. 이 기간에는 광범위한 조직손상과 반흔이 형성되는데 심혈관계 병변은 미치료 만기매독 환자의 10%에서 발생합니다.최초 감염에서 10년내지 그 이상의 기간이 경과한 후 발병합니다. 신경매독은 미치료 매독환자의 8% 증례에서 발생합니다. 매독균에 의한 중추신경의 침습은 초기매독에서 일어나지만 일반적으로는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5~35년 후에 처음으로 발병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