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관 복원술은 대개 현미경을 이용하여 수술을 합니다. 본원도 정관수술 전용의 현미경을 갖추고 수술을 하고 있으며 많은 환자분들이 성공하였습니다. 이유는 정관을 연결하는 데에 머리카락보다 가는 6-0 이하의 굵기에 해당하는 실을 6군데 이상을 봉합을 하여야 하기 때문입니다. 정관 복원술의 성공은 부고환의 손상보다 정관 절제술을 시행한 지 오래될 수록 성공률이 떨어집니다.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부고환의 손상은 정관 복원술로 치료가 가능한 수준일 경우 혹은 정관 절제술을 시행 받은 지 4년 이내일 경우 수술로 충분히 정자가 지나다닐 수 있도록 정관을 재건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정관과 정관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정관과 부고환 사이의 수술을 하게 됩니다. (Vasoepididymostomy) 하지만 정관 절제술 시행 받은 지 15년 이상일 경우 그 성공율은 60% 미만입니다. 경제적 및 시간적인 효율을 비교하였을 때 정관수술 후 인공수정을 고려하는 것도 방법입니다.
정관복원술은 보험적용 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