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리비뇨기과

명동 이윤수 조성완 비뇨기과
  • 한국어
  • 중국어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병원, 자식같이 다정한 병원 이윤수 & 조성완 병원 의료진이 환자들의 근심걱정을 함께 해결해 드립니다.

상담실 및 칼럼

비뇨기과 질환 상담

제목 요도염과 모유
등록일 2003-04-17 작성자 걱정맨 조회수 1522
오늘 요도염 판정을 받았습니다. 한달전에 부적절한 관계를 하고 말았어요. 깊이 반성하고 있습니다. 저는 기혼이구요  검사를 해봤는데 요도염이란 판정을 받았습니다.
집사람에게 사실을 밝히구 검사와 함께 치료를 받으려고 합니다. 궁금한것은 지금 아내가 모유를 먹이고 있는데 요도염과 모유와의 관계가 있는지요? 그리고 치료시 모유수유가 주사와 약의 복용과도 관계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깊이 반성하며 답변 부탁드립니다.
관리자답변
모유수유를 못할 이유는 없습니다.
어머니와 아기의 건강을 위해 모유수유를 금기하여야 될 경우가 있습니다.
<어머니측의 금기>
① 젖꼭지가 갈라지거나 피부감염으로 인한 유선염
② 급성감염
③ 만성질환: 심한 당뇨병, 신염, 결핵, 심질환, 만성빈혈, 영양실조
④ 산후합병증: 임신 중독증, 출혈, 패혈증
⑤ 정신과질환: 산후정신병,우울증, 기타 정신질환

<아기측의 금기> ① 선천성 구개 파열 ② 심한 미숙아 또는 허약자 ③ 모유 알레르기
복용약물에 관한 지침은, 1. 젖을 먹일 수 없는 경우 항암제 방사능 물질 2.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지만 젖을 계속 먹이는 경우
1) 아기가 졸려하거나 잘 먹지 않고 황달이 생길수 있는 약제 : 정신과약품, 항경련제 등 바비츄레이트(barbiturate), 디아제팜(diazepam) 등은 장기 복용은 삼갈 것
2) 약간의 부작용이 있을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다른 약으로 대치하면 좋은 약 : 설폰아마이드(sulfonamide), (특히 아기가 황달이 있으면) 클로르암페니콜(chloramphenical),테트라싸이클린 (tetracyclines)은 다른 약으로 바꿀 것
3) 젖의 양을 감소시킬수 있으므로 다른 약으로 대치하면 좋은 약 : 에스트로젠(estrogen), 타이아자이드계(thiazide) 이뇨제
4) 일반양으로는 안전한 약 : 진통제(아스피린, 이부부루펜, 모르핀)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위산약, 디곡신(digoxin), 인슐린, 기관지확장제, 스테로이드, 구충제, 항결핵제, 철분제, 요드(iodine), 비타민
이상의 약물외의 약을 장기간 또는 다량으로 먹는 경우는 한층 주의가 필요하고 의사와 상의하도록 합니다.
모유수유에 엄마약물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방법은, - 약물농도가 최고일 때 젖먹이기를 피하는 것입니다. 가능하면 아기가 가장 길게 자기전이나 젖먹인 즉후에 약을 복용한다. 금기된 약물을 복용해야 할 때에는 일시적으로 젖을 끊었다가 다시 먹이도록 합니다.
요도염에 대해 어떤 약을 선택하실지 모르나, 이들 항생제 중에는 피하는 것이 좋은 약제들이 있습니다.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약제를 선택하면 될것으로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