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리비뇨기과

명동 이윤수 조성완 비뇨기과
  • 한국어
  • 중국어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병원, 자식같이 다정한 병원 이윤수 & 조성완 병원 의료진이 환자들의 근심걱정을 함께 해결해 드립니다.

상담실 및 칼럼

비뇨기과 질환 상담

제목 어쩌면 좋은가요??
등록일 2003-04-18 작성자 도와주세요.. 조회수 906
안녕하세요...저는 벌서 2년동안 요도염을 달고 다니고 있습니다.. 물론 그동안 병원에 많이 다녔죠.... 하지만 2주정도 치료받으니깐 완치됬다구 하시더라구요... 매번 이렇게 치료하고 또 재발하고....그렇게 벌서 2년에 다되어 갑니다...
얼마전에 또 병원에서 치료가 끝났다고..한달후에 다시 검사하러 오라고 하던데... 한달이 채 않되었는데..또 요도염이 도졌는지 가끔 따끔그리고 간지럽습니다... 병원비도 넘 많이 나왔는데.... 센주사로도 맞았는데 그건 보험이 않되서 부담이 넘 많았습니다.... 그런데도 치료가 안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영원히 이렇게 치료가 않되는 건가요? 솔직히 정말 죽고 싶을정돕니다...도와 주세요..
관리자답변
님의 경우 분명히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요도염의 재발이 반복된 2년 사이에 다른 관계가 없었나 하는 것입니다. 
만약 관계가 있고 그 이후에 요도염이 재발하는 것이라면, 이는 재발보다는 상대에 의한 재감염을 생각해야 합니다. 
 재발성, 지속성 요도염의 경우 첫째 요도 내 염증 유무를 확인하고 임균, 곰팡이, 트리코모나스에 대한 검사를 해보고, 동시에 성상대자도 같은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헤르페스, 사마귀, 요도내 이물질의 존재를 확인해 보고 성상대자도 동시에 치료에 참여했는지 확인합니다.. 성상대자를 포함한 재치료시에는 에리스로마이신을 2주간 또는 테트라사이클린을 3-4주간, 스펙티노마이신 2g을 1회 근육 주사한 후 설파퓨라졸 1g씩을 하루에 2번씩, 10일간 복용하게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효과적인 약제인 스펙티노마이신 같은 것을 보험에서 인정해 주지 않아 환자의 부담이 증가됩니다. 

그래도 재발하면 요도내 염증 유무를 다시 확인하고 세균성 전립선염 유무를 체크해 보거나 콩팥이나 수뇨관, 방광 등 상부요로를 종합적으로 검사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요도염을 방치해 두면 부고환 등에 염증을 합병할 수 있습니다. 그런 경우, 수송 통로가 막히면 고환에서 만들어진 정자의 운송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된 경우를 폐쇄성 무정자증이라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