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리비뇨기과

명동 이윤수 조성완 비뇨기과
  • 한국어
  • 중국어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병원, 자식같이 다정한 병원 이윤수 & 조성완 병원 의료진이 환자들의 근심걱정을 함께 해결해 드립니다.

상담실 및 칼럼

비뇨기과 질환 상담

제목 정말 궁금합니다..
등록일 2003-04-30 작성자 .... 조회수 1316
이틀전 동네의 비뇨기과를 찾았습니다..

소변을보는데 약간의 통증이있고..
정액과같은 투명한 액체 또는 하얀 분비물이 아주 소량씩
속옷에 묻는 증상이 었습니다..
병원에서 소변 검사를 했습니다..
소변검사후 원심분리기인가? 하여가 그기계에 소변을 넣은후
소량의 소변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시더군요..
그러고나서 저에게 현미경과 연결된 모니터로
제 소변에서 단백질이 나온다면서 염증이 있다는걸
보여주시더라구여..하지만 확실한 병명은 말씀을 안해주시더라
고여..단백질이 듬성듬성 보이는 것으로 보아 임질은 아닌것
같다고 말하시면서 만성 전립선염이나 잡균성일지도 모르고
혹은 그외의 문제 일수도 있다는 흐릿한 대답만 해주시더군요
문제는 그다음 부터 였습니다..의사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길
자신의 병원에서는 1주일간만 치료하면 되는데 그대신
치료비가 비싸다고 하시더군요..의료보험도 안되고..
정확한 염증의 원인을 밝혀서 검사후 치료하면은 더 많은
돈이 필요하다면서 이틀동안 주사를 두대씩 맞고 일주일치
약을 먹으면 감쪽같이 낳을 꺼라고 하시더군요..요즘
강남이나 좋은 병원에서는 다 이렇게 치료한다면서..
치료비가 그리 비싸지 않다고 들었던 저에겐 주사 두방에
5만원이라는 돈이 정말 만만치 않았습니다 오늘까지
병원비만 진료비 약값 포함 13만원 가량이 들었습니다..
학생인 저에게는 정말 큰 돈입니다.. 의사선생님을 의심하는
것은 아니지만 정말 궁금합니다.. 이윤수 비뇨기과에서도
이런 치료가 있는지??..제가 어리다보니 혹시라도...하는
생각이 듭니다..혹시라도 이런 비슷한 치료 방법이 있다면
말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다른 병원에 갔으면서 이런질
문을 한다는게 너무나 죄송스럽습니다...하지만 이상하게도
이 게시판이 웬지 믿음직 스럽고 신뢰가 가네요..수고하세여~
관리자답변
 본원에서 님을 처음 진료하여 검사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상태가 아니므로 정확한 답변을 드리기는 어렵습니다만..
님의 검사결과를 보면 소변에서 단백과 염증세포가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된 상태로 이는 대개 비임균성 요도염으로 진단하고 치료합니다. 치료가 잘되지 않거나 치료후에도 증상이 지속적인 경우에 전립선염을 의심해 볼수가 있고 이에 대한 추가적인 검사를 하여 진단할수 있습니다.

요도염의 원인에 따라 임질이 아닌경우를 비임균성 요도염이라 임상적으로 진단하여 치료를 하게되는데, 비임균성 요도염의 원인균을 정확하게 규명하는데 필요한 특수 검사들은 비용도 고가라서 치료에 불응하는 경우나 연구적 목적이 아니면 거의 일차적으로 시행하지 않습니다. 과거에는 임질의 경우 페니실린만 사용하여도 쉽게 치료되었으나 최근에는 내성균이 많아 스펙티노마이신주사가 효과가 좋습니다만 이는 보험이 되지 않아 환자의 동의하에서만 사용하며 1회요법으로 사용하는 것이 권장량입니다. 이약제가 약 삼만원정도 본인부담을 하는, 흔히들 알고 있는 '성병에 맞는 아픈주사' 하는 약으로 가장 비싼약에 해당합니다. 이는 비임균성 요도염의 1차적 치료제는 아니고 비임균성 요도염의 경우에는 대개 복용약제로 1-2주 처방하고 증상에 따라 주사제를 첨가하기도 합니다. 치료가 잘 안되는 원인을 알수 없는 염증에 간혹 스펙티노마이신을 써 보기도 합니다. 말씀드리고 싶은것은 요도염이든 전립선염이든, 전세계적 치료기준과 또 한국내의 통계에 따른 일반적인 치료가이드 라인에 따라 치료를 하는 것이지, 강남의 유명한 곳에서 하는 치료가 따로 있고, 시골 비뇨기과에서 하는 치료가 따로 있는것은 아닙니다. 제시된 선택약제들중 환자의 상태와 경제적 능력에 맞추어 치료하게 되겠지요.. 환자가 아무리 돈이 많아도, 적은 비용으로 효과를 볼수 있는 치료방법이 있으면 그것을 선택해야하고, 환자가 아무리 경제적 어려움이 있다 하더라도, 반드시 이약제를 사용해야 추가적인 비용부담이 없겠다 생각하면 그 방법을 선택해야겠지요.. 이미 치료를 받으신 상태이니 치료결과를 잘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단백뇨는 크게 걱정할 상태가 아닌 경우가 많습니다. 소변에 혈액, 고름, 분비물, 정액등이 섞이는 경우 단백뇨가 있을수 있으므로 염증이 있는 상태에서는 1회검사로 단백뇨를 평가해서는 안됩니다. 그외에도 간헐적 단백뇨나 기립성 단백뇨 같은 것도 있기 때문에 일시적인 현상이 많습니다.
혹 치료가 끝난후에도 단백뇨가 지속되다면 단백뇨에 대한 정량 재검사 및 필요에 딸 병원에서 제시하는검사를 시행하셔서 원인에 대한 확인을 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