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앤리비뇨기과

명동 이윤수 조성완 비뇨기과
  • 한국어
  • 중국어
사랑과 정성을 다하는 병원, 자식같이 다정한 병원 이윤수 & 조성완 병원 의료진이 환자들의 근심걱정을 함께 해결해 드립니다.

상담실 및 칼럼

비뇨기과 질환 상담

제목 곤지름 확진 방법
등록일 2003-05-28 작성자 불안 조회수 1219
곤지름을 사전에 확인 받을 방법은 잇는지요?
또 전염력이 강하다고 하는데, 현재 증상이 안보인다고
해도 상대에게 감염시킬 여력은 잇지 않나요.
한번의 실수로 이렇게 인생이 망가질수 잇다는게..
이젠 세상이 무섭습니다.
관리자답변
곤지름(성병성 사마귀)은 Human Papilloma Virus에 의한 감염으로 정확한 명칭은 첨형 콘딜로마입니다. 이것이 콘딜롬으로 불리다 국내에서 곤지름으로 정착이 된것 같습니다. 이는 성전파성 바이러스 질환으로 HPV중 약 30가지가 생식기 감염을 일으키며, 성기 사마기외에 간과하기 쉬운 무증상 감염도 더 흔할것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대개 Type6,11은 첨형 콘딜로마, Type16,18,31,45는 자궁경부암의 80%에서 관찰이 됩니다. 

바이러스는 잠복해 있다가 잦은 재발을 하게 되는데, 재발시 전염률이 높아지지만, 무증상기에도 상대에게 전염될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바이러스 검출에 사용되는 검출방법 사이에는 민감도의 차이가 있기 때문에, 무증상 감염의 유병율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증상이 발현되기 전에 미리 진단해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검사방법으로는 특징적인 외형을 보이는 경우 육안적 소견을 가지고 임상적 진단이 일반적입니다. 여성의 경우는 흔히 Pap smear를 통해, 최근에는 곤지름병변 세척액을 가지고 중합효소연쇄반응(PCR)을 이용한 DNA증폭을 통해 검사의 정확도를 높이고 있습니다.